로르샤흐 검사란

Hermann Rorschach(1884-1922)
헤르만 로르샤흐(Hermann Rorschach)는 스위스 태생의 의사로,
스위스 프로이트 학파의 정신분석학자이자 정신의학자로, 투사검사인 로르샤흐 검사를 고안하였다.
로르샤흐는 스위스 의사회에서 당시에는 생소했던 정신분석 기법들을 소개하였으며, 이러한 공로로 1919년 스위스 정신분석학회의 부회장으로 선출되었다. 1921년 잉크 반점 검사의 기본 형태를 실은 논문 《정신질환 진단》(Psychodiagnostik)을 집필하여 6월에 발간하였다. 이 논문은 로르샤흐 검사에 대한 유일한 논문이다. 이 논문에서 그는 1909년에서 1913년까지 러시아에서 정신과 전공의로 일하면서 발전시킨 로르샤흐 절차에 대해 기술하였다.
지각적, 심리적 과정을 탐색하는 그의 절차는 무엇보다도 분석심리학자 카를 융에 의해 개발된 단어연상검사에서 가장 많은 영향을 받았다.
로르샤흐는 초기 연구에서, 융의 연상검사에서 정신병 환자들이 보인 반응들과 잉크반점 검사에서 정신병 환자들이 나타낸 반응들을 비교하였으며, 이 두 검사가 다소 다른 심리적 과정을 다루고 있다고 결론지었다. 로르샤흐는 자신의 기법을 하나의 검사가 아니라 다양한 집단의 반응을 식별하기 위한 경험적인 도구로 여겼으며, 이런 집단에는 정신지체, 정신분열증 및 특징이 알려진 다른 집단들이 포함된다. 로르샤흐는 지각적 과정, 즉 사람들이 본 것을 조직하고 구조화하는 방법은 인간 영혼의 측면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믿었다. 그가 치료했던 정신분열증 환자의 주요 증상은 사고장애와 지각장애를 포함하고 있었으므로, 로르샤흐는 정신분열증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한 절차를 탐색하게 된 것이다. 이 논문에 실린 방법들은 그가 죽은 후에 심리 측정과 정신병 진단에 널리 적용되었다.
논문을 쓴 지 1년 후인 1922년 로르샤흐는 충수 파열이 원인으로 추정되는 복막염으로 사망하였다.
출처: 위키 백과, 로르샤흐 평가의 핵심(시그마프레스)
로르샤흐검사
- 성격과 성격 검사
- 성격은 일반적으로 개인이 자신과 세계를 지각하고, 정서를 조절하고, 스트레스와 삶의 과제에 대처하고,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를 맺는 특정한 방식을 말한다. 즉, 각 개인은 어느 정도는 적응적이고 어느 정도는 부적응적인 고유한 사고, 감정, 행동의 지속적인 패턴이 있으며, 이런 패턴을 심리검사를 통해 평가할수 있다고 ‘가정’한다.
성격 검사는 구조와 내용 면에서 다양하다. 성격 검사는 크게 객관적 성격검사와 투사적 성격검사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객관적 성격검사는 엄선된 문항으로 이루어진 매우 구조화된 검사이며, 제한된 범위의 반응만 가능하다. 반면, 투사적 성격검사에서는 그 의미가 불분명하고 모호하며, 덜 구조화되어 있는 자극을 제시하여, 다양한 반응이 가능하다. 투사적 검사는 성격구조의 심층적인 부분과 성격 역동의 복잡성에 접근할 수 있다고 여겨져 왔고, 전체적인 개인에 대한 심리학적이며 심층적인 수준의 정보와 윤곽을 제공하는데, 로르샤흐 검사가 바로 대표적인 투사 검사이다. - 로르샤흐, 로르샤하 혹은 로샤 검사
- 로르샤흐 잉크 반점 검사(Rorschach Inkblot Test, 이하 로르샤흐 검사)는 스위스의 정신과 의사 헤르만 로르샤흐가 1921년에 개발한 성격검사로, 좌우 대칭의 잉크반점이 있는 열 장의 카드로 이루어져 있다. 로샤 검사, 로르샤흐 검사라고 부르며, 연구자들에 따라서는 로샤 잉크반점 기법(Rorschach Inkblot Method)으로도 부른다. 형태가 뚜렷하지 않은 카드의 그림을 보여주면서 무엇처럼 보이는지, 무슨 생각이 나는지 등을 자유롭게 말하여 수검자의 성격을 평가한다.
- 로르샤흐 검사의 자극
- 로르샤흐 검사에는 종이 위에 잉크를 떨어뜨리고, 그것을 접었다 펴서 좌우 대칭으로 만든 그림(로르샤흐 카드)을 사용한다. 로르샤흐가 데칼코마니 기법으로 제작한 카드를 지금까지도 사용하고 있다. 각 카드의 크기는 약 17cm×24cm이며, 무채색으로 된 카드, 유채색으로 된 카드 각각 5장으로 총 10장이다.
- 검사절차
- [자극노출단계] 검사자는 수검자에게 카드를 1장씩 보여준다.
[자유반응단계] 수검자는 카드의 잉크 반점이 무엇으로 보이는지 자유롭게 응답한다.
[질 의 단 계] 검사자는 수검자에게 질문을 하여, 카드의 어떤 영역에서 무엇이 보이는지 등을 청취하고, 반응 시간, 반응 내용(무엇이 보였는지),
반응 영역 (무엇이 보이는지), 결정인(어떤 특징에서 봤는지)을 기록한다.
[채 점 단 계] 질의 단계를 바탕으로 정해진 부호에 따라서 검사 결과를 채점한다.
[분 석 단 계] 수검자의 관념, 정서, 자기지각, 대인관계 등 여러 영역에 걸쳐 해석한다.
[통 합 단 계] 자극노출단계-분석단계에 이르기까지의 수검자의 행동, 검사 내용, 채점을 통해 수치화된 자료등을 검토하여 통합하고, 보고서를 작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