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로샤 코리아 > 참고논문
참고논문
- Exner 종합체계에 따른 한국정상성인의 Rorschach 반응특성
-
- 번호
- 1
- 논문명
- Exner 종합체계에 따른 한국정상성인의 Rorschach 반응특성
- 저자명
- 신경진, 원호택
- 학술지명
- 한국심리학회지 임상(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권호사항
- Vol.10 No.1 [1991]
- 발행처
- 한국심리학회
- 발행처 URL
- http://www.kcp.or.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206-216(11쪽)
- 언어
- Korean
- 발행연도
- 1991년
- 참고 내용
- 본 연구의 목적은 Exner 종합체계에 따라 한국정상성인의 잠정적인 Rorschach 반응특성을 조사하는 것이다. 18세 이상 정상 성인의 Rorschach 278사례를 Exner 종합체계에 따라 실시하고 채점하였다 이를 Exner가 제시한 70개의 변인 별로 평균을 내고 17개의 구조적 변인의 방향성을 조사하여 미국성인을 대상으로 조사한 Exner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미국성인에 비해 한국성인은, 첫째, 총 반응수, 평범반응, 내용범주, 순수인간반응, 총 인간반응, 조직의 빈도, 특별점수는 적었으며 동물반응은 많았다. 둘째. W반응이 상대적으로 많아서 W : D=1 : 1이었다. 셋째, Exner의 형태질표에 따라 채점을 한 결과, 좋은 행태질의 비율이 낮았고 나쁜 형태질의 비율은 높았다. 넷째, 인간운동반응이 적었고 동물운동반응은 많았으며, 그 방향은 M<FM 이었다. 다섯째, 색채반응이 적었고, Afr가 낮았으며, FC와 CF+C의 방향은 FC<CF+C였다. 또한 음영반응 중 FC'+C'F+C'와 FT+TF+T는 적었고, FV+VF+V와 FY+YF+Y는 많았다. 여섯째, Zd<-3.0인 사람의 비율이 매우 높았다. 일곱째, 자기중심성 지표(3r+(2)/R)가 낮아 .30이하인 사람의 비율이 과반수 이상이었다. 끝으로 한국인과 미국인의 문화적인 차이에 대해서 논의되었고,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형태질수준표와 평범반응 및 영역구분이 객관적으로 조사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이 논의되었다.
- Exner의 종합체계에 근거한 한국형 아동 로르샤하 종합체계의 구성-탐색적 연구
-
- 번호
- 2
- 논문명
- Exner의 종합체계에 근거한 한국형 아동 로르샤하 종합체계의 구성-탐색적 연구
- 저자명
- 홍상황
- 학술지명
- 한국심리학회지 임상(The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 권호사항
- Vol.28 No.4 [2009]
- 발행처
- 한국심리학회
- 발행처 URL
- http://www.kcp.or.kr
- 자료유형
- 학술저널
- 수록면
- 961-994(34쪽)
- 언어
- -
- 발행연도
- 2009년
- 참고 내용
- 본 연구는 Exner의 종합체계에 근거한 한국형 아동 로르샤하 종합 체계를 구성하기 위한 예비 연구를 수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6-12세의 한국 아동 1049명을 대상으로 로르샤하를 실시하고 채점하여 113개의 로르샤하 변인, 비율 및 특수지표 등을 계산하여 미국의 아동 규준과 비교하고, Exner가 제시한 반응 영역과 평범 반응이 한국 아동에서 동일하게 나타나는지를 알아보았다. 자료 수집결과 총 반응수는 22,067개였고, 이러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아동은 비교 가능한 로르샤하 변인 62개 중에서 53개 변인(85.48%)이 미국 아동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대부분의 빈도 지표에서도 차이가 있었다. 둘째, Exner가 제시한 82개 D 영역 중 46개(56.10%), 130개 Dd영역 중 23개(17.69%)를 동일한 영역으로 분류 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한국 아동의 경우 12개의 D, 84개의 Dd 영역을 새로이 추가하여 총 62개의 D영역과 132개의 Dd 영역으로 된 반응 영역도를 구성 할 수 있었다. 셋째, 이렇게 구성한 반응 영역의 반응에 대해서 Exner가 적용한 기준을 사용하여 형태질을 평정하였다. 수집한 자료 중에서 Dd99와 Dds99를 제외한 19,537개 반응의 형태질을 평정한 결과 o, u, -인 반응수는 각각 6,862개(34.45%), 6,575개(33.97%), 5,920개(30.58%)이었다. 넷째, Exner가 제시한 13개의 평범반응이 한국 아동의 자료에서도 나타나는지를 알아본 결과 III, IV, V, VIII번 카드에서 동일한 5개의 평범 반응이 나타났고, 다른 카드에서는 평범반응으로 규정할 정도로 반응 빈도가 충분히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